반응형

[SAS]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 (비모수 일원 배치 분산 분석: Kruskal-Wallis Test) - NPAR1WAY()

 

셋 이상의 분포에서 평균이 다른지 확인하는 방법은 ANOVA (ANalysis Of VAriance)였다. 

2022.10.12 - [모평균 검정/SAS] - [SAS] 일원 배치 분산 분석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 PROC GLM, PROC ANOVA

2022.11.26 - [모평균 검정/SAS] - [SAS] 등분산 가정이 성립하지 않는 일원 배치 분산 분석 (Welch's ANOVA) - PROC GLM, PROC MIXED

 

그런데, 여기에는 각각의 분포가 정규성을 따른다는 중요한 가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크루스칼-왈리스 검정(Kruskal-Wallis Test)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과 그 사후 분석 (post hoc analysis)까지 알아보고자 한다.

 

*실습용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2022.08.04 - [공지사항 및 소개] -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12.18)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12.18)

2022년 12월 18일 버전입니다. 변수는 계속하여 추가될 예정입니다. 다음 카테고리에 있는 글에서 이용된 데이터입니다. - 기술 통계 - 범주형 자료 분석 - 모평균 검정 - 상관분석 - 반복 측정 자료

medistat.tistory.com

 

시작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파일을 불러온다.

라이브러리 만드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라이브러리 만들기 - LIBNAME

파일 불러오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 PROC IMPORT, PROC EXPORT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목표:  흡연 상태(SMOK)에 따라 니코틴 중독 점수 (NICOT_ADDICT) 중앙값이 모집단 수준에서 서로 다르다고 말할 수 있는가?

 

 만약 NICOT_ADDICT의 분포가 정규성을 따른다면, ANOVA로 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규성 여부를 먼저 확인해 보자.

정규성 - 코드

 - 정규성 검정에 관한 분석 내용은 다음 글에서 살펴볼 수 있다. 2022.08.12 - [기술 통계/SAS] - [SAS] 정규성 검정 - PROC UNIVARIATE

 - PROC UNIVARIATE명령문에서 "CLASS"옵션을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 글에서 살펴볼 수 있다. 2022.09.23 - [기술 통계/SAS] - [SAS] 기술 통계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최댓값, 최솟값, 중위수, 분위수 등) - PROC UNIVARIATE, PROC MEANS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CLASS SMOK;
VAR NICOT_ADDICT;
HISTOGRAM NICOT_ADDICT/ NORMAL (MU=EST SIGMA=EST);
RUN;

정규성 - 결과

결과 - 1) 비흡연자 (SMOK=0)

표본의 수가 2,000이 되지 않으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아야 하고, 이는 0.05보다 작다. Q-Q plot에서는 직선에서 벗어나는 표본들이 많고, 히스토그램에서도 right-skewed 분포를 보이므로 정규성을 따르지 않다고 결론을 짓는다.

 

결과 - 2) 과거 흡연자 (SMOK=1)

표본의 수가 2,000이 되지 않으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아야 하고, 이는 0.05보다 작다. Q-Q plot에서는 직선에서 벗어나는 표본들이 많고, 히스토그램에서도 right-skewed 분포를 보이므로 정규성을 따르지 않다고 결론을 짓는다.

 

결과 - 3) 현재 흡연자 (SMOK=2)

표본의 수가 2,000이 되지 않으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아야 하고, 이는 0.05보다 작다. Q-Q plot에서는 직선에서 벗어나는 표본들이 많고, 히스토그램에서도 uniform distribution 분포를 보이므로 정규성을 따르지 않다고 결론을 짓는다.

 

따라서 일원 배치 분산 분석 (ANOVA)을 시행할 수 없고, 크루스칼 왈리스 분석 (Kruskal-Wallis Test)을 시행해야 한다.

 

지금까지 많은 분석을 할 때 분산이 같은지 여부 (등분산성)을 중요하게 여겼었다. 하지만 크루스칼 왈리스 분석은 분산이 달라도 어느 정도 괜찮다. 물론 분산에 아주 큰 차이가 나면 위험해지지만, 어느 정도는 robust 하므로 웬만하면 그냥 써도 괜찮다.

 

크루스칼 왈리스 (Kruskal Wallis) 검정 코드

PROC NPAR1WAY DATA=hong.df WILCOXON CORRECT=NO;
CLASS SMOK;
VAR NICOT_ADDICT;
RUN;

코드는 두 군에서의 비모수 중앙값 검정인 맨 휘트니 U 검정과 같다.(2022.12.20 - [모평균 검정/SAS] - [SAS] 윌콕슨 순위 합 검정, 맨 휘트니 U 검정 (비모수 독립 표본 중앙값 검정: Wilcoxon rank sum test, Mann-Whitney U test) - NPAR1WAY())

 

PROC NPAR1WAY DATA=hong.df WILCOXON CORRECT=NO; : 비모수 검정을 시행한다. 데이터는 hong라이브러리의 df를 사용하고,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을 시행한다. 연속성 수정은 하지 않는다.(연속성 수정에 관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확인하길 바란다.2022.08.30 - [통계 이론] - [이론] 연속성을 수정한 카이 제곱 검정 (Chi-squared test with Yates's correction for continuity))
CLASS SMOK; : SMOK값에 따라 검정을 시행한다. (흡연 여부에 따라 시행한다.)
VAR NICOT_ADDICT; : NICOT_ADDICT값을 검정한다.

 

결과

P-value가 <0.0001이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 가설을 채택한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귀무가설 및 대립 가설은 무엇이었는가?

 

 귀무가설:  $H_0=$ 세 집단의 모평균은 "모두" 동일하다.

 대립 가설:  $H_1=$ 세 집단의 모평균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다.

 

우리는 대립 가설을 채택해야 하므로 "세 집단의 모평균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다."라고 결론 내릴 것이다.

이 말은, 세 집단 중 두 개씩 골라 비교했을 때, 적어도 한 쌍에서는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세 집단 중 두 개씩 골라 비교를 해보아야 하며, 이를 사후 분석 (post hoc analysis)이라고 한다. 세 집단에서 두 개씩 고르므로 가능한 경우의 수는 $_3 C_2 =3$이다.

 (1) 비흡연자 vs 과거 흡연자

 (2) 비흡연자 vs 현재 흡연자

 (3) 과거 흡연자 vs 현재 흡연자

 

비모수 검정인 Kruskal Wallis 검정의 사후 분석으로 쓰이는 방법은 다음 네 가지가 있다.

1) Pairwise Wilcoxon Test

 - 가장 적절하지 않다. 왜냐하면 Kruskal wallis 검정은 기본적으로 순위를 이용한 검정 방법인데, 전체 집단에서 특정 피험자의 순위는 부분 집단에서의 순위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전체 집단에서 흡연자인 어떤 피험자의 니코틴 중독 점수의 순위는 (비흡연자 + 현재 흡연자) 집단에서의 순위와 크게 달라진다. 동시에 분산도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2) Conover Test

 -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t 분포에 근거해 판단한다.

3) Dunn Test

 -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z 분포에 근거해 판단한다.

4) Nemenyi Test

 

하지만 SAS는 위 네 개 중 하나의 방법이 아닌 다른 방법을 사용한다. 

Dwass, Steel, Critchlow-Fligner (DSCF) multiple comparison procedure를 사용하며 이는 pairwise Wilcoxon test를 기반으로 하나, 특수한 방법으로 그 familywise error rate를 보정하고 있다. 이 방법은 Conover Test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DSCF 사후 검정 - 코드

PROC NPAR1WAY DATA=hong.df WILCOXON DSCF CORRECT=NO;
CLASS SMOK;
VAR NICOT_ADDICT;
RUN;

일반적인 Kruskal Wallis 검정을 시행하되, 첫 번째 줄에 "DSCF"를 추가해 준 것이 끝이다.

 

결과

여러 값이 제시되지만, 마지막 열인 "Pr>DSCF"인 p-value만 보면 된다. 

 

 

 (1) 과거 흡연자(SMOK=1) vs 현재 흡연자 (SMOK=2) : p-value < 0.0001

 (2) 과거 흡연자 (SMOK=1) vs 비흡연자 (SMOK=0) : p-value < 0.0001

 (3) 현재 흡연자 (SMOK=2) vs 비흡연자 (SMOK=0) : p-value < 0.0001

 

모든 p-value가 0.05보다 작으므로 다음과 같이 결론 내릴 수 있다.

비흡연자 (0)와 과거 흡연자 (1)  사이에는 NICOT_ADDICT 중앙값에 차이가 있다.

비흡연자 (0)와 현재 흡연자 (2) 사이에는 NICOT_ADDICT 중앙값에 차이가 있다.

과거 흡연자 (1)와 현재 흡연자 (2)) 사이에는 NICOT_ADDICT 중앙값에 차이가 있다.

 

어떤 사후 분석을 쓸 것인가

 이 논의에 대해 정답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논문에 제시하면 되고, 어떤 것이 정답이라고 콕 집어 이야기할 수는 없다. 다만, 사후 분석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다는 것은 '사후 분석 방법에 따라 산출되는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심지어는 '어떤 사후 분석 방법을 채택하냐에 따라 유의성 여부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지어, Kruskal-Wallis test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왔는데, 사후 분석을 해보니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떤 사후 분석 방법 결과에 따른 결과인지 유의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왜 굳이 Kruskal Wallis test를 쓰는 것인가?

이 시점에서 이런 의문이 들 수 있다.

"각각의 그룹별로 평균을 비교하면 되지, 굳이 왜 Kruskal Wallis test라는 방법까지 사용하는 것인가?"

 아주 논리적인 의문점이다. 하지만, 반드시 Kruskal-Wallis test를 사용해야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본 사례는 흡연 상태에 따른 조합 가능한 경우의 수가 3인데, 각각 유의성의 기준을 $\alpha=0.05$로 잡아보자. 이때 세 번의 비교에서 모두 귀무가설이 학문적인 진실인데(평균에 차이가 없다.), 세 번 모두 귀무가설을 선택할 확률은 $\left( 1-0.05 \right)^3 \approx 0.86$이다. (이해가 어려우면 p-value에 대한 설명 글을 읽고 오길 바란다. 2022.09.05 - [통계 이론] - [이론] p-value에 관한 고찰)

 그런데, Kruskal-Wallis test의 귀무가설은 "모든 집단의 중앙값이 같다."이다. 따라서 모든 집단의 중앙값이 같은 것이 학문적 진실일 때, 적어도 한 번이라도 대립 가설을 선택하게 될 확률은 $1-0.86=0.14$가 된다. 즉, 유의성의 기준이 올라가게 되어, 덜 보수적인 결정을 내리게 되고, 다시 말하면 대립 가설을 잘 선택하는 쪽으로 편향되게 된다. 학문적으로는 '다중 검정 (multiple testing)을 시행하면 1종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각각을 비교해 보는 것이 아니라 한꺼번에 비교하는 Kruskal-Wallis test를 시행해야 함이 마땅하다. 

 

여기에서 한 번 더 의문이 들 수 있다.

 "사후 분석을 할 때에는 1종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가?"

그렇다. 1종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있으므로, p-value의 기준을 더 엄격하게 (0.05보다 더 작게) 잡아야 한다. P-value를 보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는 Bonferroni, holm, hochberg, hommel, BH, BY, FDR 등이 있고, Kruskal-Wallis test의 사후 분석 방법으로는 특별히  Pairwise Wilcoxon Test, Conover Test, Dunn Test, Nemenyi Test, DSCF을 사용하고 있다. 

 

코드 정리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정규성 검정하기;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CLASS SMOK;
VAR NICOT_ADDICT;
HISTOGRAM NICOT_ADDICT/ NORMAL (MU=EST SIGMA=EST);
RUN;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
PROC NPAR1WAY DATA=hong.df WILCOXON CORRECT=NO;
CLASS SMOK;
VAR NICOT_ADDICT;
RUN;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 & 사후검정;
PROC NPAR1WAY DATA=hong.df WILCOXON DSCF CORRECT=NO;
CLASS SMOK;
VAR NICOT_ADDICT;
RUN;

[SAS]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 (비모수 일원 배치 분산 분석: Kruskal-Wallis Test) 정복 완료!

 

작성일: 2023.04.05.

최종 수정일: 2023.04.05.

이용 프로그램: SAS v9.4

운영체제: Windows 11

반응형
반응형

[SAS] 윌콕슨 순위 합 검정, 맨 휘트니 U 검정 (비모수 독립 표본 중앙값 검정: Wilcoxon rank sum test, Mann-Whitney U test) - NPAR1WAY()

 두 분포의 평균이 다른지 확인하는 방법을 이전에는 독립 표본 T검정 (Two-Sample T test)로 시행했었다. (2022.10.04 - [모평균 검정/SAS] - [SAS]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 PROC TTEST) 하지만 여기에는 중요한 가정이 필요한데, 각각의 분포가 정규성을 따르는 것이다. 하지만 분포가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Wilcoxon rank sum test (윌콕슨 순위 합 검정)이다.  윌콕슨 순위 합 검정 (Wilcoxon rank sum test)는 이후에 Mann과 Whitney가 개정을 하였고 그때 U 통계량을 사용하므로 맨 휘트니 U 검정(Mann-Whitney U test)이라고도 한다. 또한 세 사람의 이름을 붙여 Wilcoxon-Mann-Whitney Test (WMW test)라고도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윌콕슨 순위 합 검정 (Wilcoxon rank sum test)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실습용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2022.08.04 - [공지사항 및 소개] -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12.18)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12.18)

2022년 12월 18일 버전입니다. 변수는 계속하여 추가될 예정입니다. 다음 카테고리에 있는 글에서 이용된 데이터입니다. - 기술 통계 - 범주형 자료 분석 - 모평균 검정 - 상관분석 - 반복 측정 자료

medistat.tistory.com

 

시작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파일을 불러온다.

라이브러리 만드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라이브러리 만들기 - LIBNAME

파일 불러오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 PROC IMPORT, PROC EXPORT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목표: 음주 여부에 따라 Gamma-glutamyl transferase(GGT)의 중앙값이 모집단 수준에서 서로 다르다고 말할 수 있는가?

 

정규성 - 코드

 만약 GGT의 분포가 정규성을 따른다면, 독립 표본 T 검정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독립 표본 (Indepent samples, Two tamples) T 검정의 전제조건은 각각의 독립 표본의 분포가 정규성을 따른다는 것이다. 즉, 여기에서는 음주 여부에 따라 GGT의 정규성을 검정하도록 하겠다.

 - 정규성 검정에 관한 분석 내용은 다음 글에서 살펴볼 수 있다. 2022.08.12 - [기술 통계/SAS] - [SAS] 정규성 검정 - PROC UNIVARIATE

 - PROC UNIVARIATE명령문에서 "CLASS"옵션을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 글에서 살펴볼 수 있다. 2022.09.23 - [기술 통계/SAS] - [SAS] 기술 통계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최댓값, 최솟값, 중위수, 분위수 등) - PROC UNIVARIATE, PROC MEANS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CLASS ALCOHOL;
VAR GGT;
HISTOGRAM GGT/ NORMAL (MU=EST SIGMA=EST);
RUN;

 

정규성 검정 - 결과

1) ALCOHOL=0 (비음주자 군)

 

 

2) ALCOHOL=1 (음주자 군)

 N수가 2,000개 미만이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면 0.05 이하이며, Q-Q Plot은 대부분의 데이터가 선상에 있지 않고, 히스토그램에서도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독립 표본 T검정 (Two-sample T-test)를 시행할 수 없고, 맨 휘트니 U 검정 (Mann-Whitney U test)을 시행해야 한다.

 

 

맨 휘트니 U 검정 (Mann-Whitney U test) 코드

PROC NPAR1WAY DATA=hong.df WILCOXON CORRECT=NO;
CLASS ALCOHOL;
VAR GGT;
RUN;

PROC NPAR1WAY DATA=hong.df WILCOXON CORRECT=NO; : 비모수 검정을 시행한다. 데이터는 hong라이브러리의 df를 사용하고, 윌콕슨 검정 (맨 휘트니 U 검정)을 시행한다. 연속성 수정은 하지 않는다.(연속성 수정에 관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확인하길 바란다.2022.08.30 - [통계 이론] - [이론] 연속성을 수정한 카이 제곱 검정 (Chi-squared test with Yates's correction for continuity))
CLASS ALCOHOL; : ALCOHOL값에 따라 검정을 시행한다. (음주 여부에 따라 시행한다.)
VAR GGT; : GGT값을 검정한다.

 

*만약 연속성 수정을 원한다면 "CORRECT=NO"를 빼버리면 된다.

결과

 

빨간 박스 안 양측 검정 p-value가 매우 작으므로 유의한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 가설을 택해야 한다. 여기에서 귀무가설과 대립 가설은 무엇일까?

 

귀무가설 $H_0=$ 두 분포는 동일하다.

대립 가설$H_1=$  두 분포는 평균만 다를 뿐, 분포는 똑같이 생겼다.

즉, 대립 가설이 의미하는 것은 두 분포는 평행이동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그래야 중앙값이 달라진 것인지 확인할 수 있다. 

평행이동 관계

이 말은, 맨 휘트니 U 검정에도 필요한 가정이 있다는 말이다. 두 분포는 동일하게 생겼어야 한다.

조금 어렵게 이야기하면, 두 분포의 first moment는 다르지만, 그보다 고차원의 central moment는 같아야 한다.

만약 생김새가 다르면 맨 휘트니 U 검정을 사용하면 안 되고, Robuts rank order test 등을 시행해야 한다. (물론 현실에서는 이런 내용을 무시한 채 '정규성을 따르지 않으니 맨 휘트니 U 검정을 사용한다'는 연구자가 대다수다.) 이에 관한 내용은 다음 링크를 확인하길 바란다. 링크 추가 예정

 

 그런데 위 히스토그램을 보면 음주자와 비음주자의 GGT분포는 right skewed 된 분포로 어느 정도 비슷하게 생겼다. 모든 central moment를 조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힘들지만, 2nd cental moment인 분산의 차이를 검정해보면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다. 등분산성 검정 방법은 다음 링크를 확인하길 바란다.

2022.10.04 - [모평균 검정/SAS] - [SAS]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 PROC TTEST

2022.10.05 - [모평균 검정/SAS] - [SAS] 등분산성 검정 (Homogeneity of variance) - PROC GLM

코드

PROC TTEST DATA=hong.df;
CLASS HTN;
VAR GGT;
RUN;

결과

p-value는 0.7922로 분산에 차이가 없다고 결론 내리는 것이 합당하다.

따라서 두 분포의 모양이 같다고 생각하면 본 맨 휘트니 U 검정으로 음주자와 비음주자의 GGT값에는 차이가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만약, 분포가 다르게 생기면 어떤 결과가 초래되길래 그렇게 강조하는 걸까?

R에서 시행한 내용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2022.12.01 - [모평균 검정/R] - [R] 로버스트 순위 순서 검정 (비모수 독립 표본 중앙값 검정: Robust rank order test, Flinger-Pollicello test) - rrod.test()

R에서 NP3_raw는 right skewed, NP4_raw는 left skewed로 서루 매우 다르게 생겼음을 알 수 있다.

분산, 중앙값이 완벽히 일치하며, 등분산성 검정에서도 분산에 차이가 없다고 나온다. 하지만 맨 휘트니 U 검정 결과 p-value는 매우 작게 나온다. 만약 맨 휘트니 U 검정이 "중앙값이 같은지 확인하는 검정"이라고만 알고 있다면 중앙값이 완전히 같은 이런 경우에도 "중앙값에 차이가 있다."라고 결론 내릴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두 분포는 다르게 생겼다."라고 결론 내려야 옳은 결론에 다다른다. 

 

 따라서 만약 생긴 모양이 같고 중앙값만 다르다면, 유의미한 맨 휘트니 U 검정의 결과는 중앙값의 차이로 귀결될 수 있다. 하지만 모양이 다르다면 중앙값의 차이로 귀결될 수 없음을 유의하길 바란다.

 

코드 정리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정규성 검정;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CLASS ALCOHOL;
VAR GGT;
HISTOGRAM GGT/ NORMAL (MU=EST SIGMA=EST);
RUN;

*맨 휘트니 U 검정;
PROC NPAR1WAY DATA=hong.df WILCOXON CORRECT=NO;
CLASS ALCOHOL;
VAR GGT;
RUN;

 

[SAS] 윌콕슨 순위 합 검정, 맨 휘트니 U 검정 (비모수 독립 표본 중앙값 검정: Wilcoxon rank sum test, Mann-Whitney U test) 정복 완료!

작성일: 2022.12.20.

최종 수정일: 2022.12.22.

이용 프로그램: SAS v9.4

운영체제: Windows 10

반응형
반응형

[SAS] 일표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비모수 일표본 중앙값 검정: One-sample Wilcoxon Signed Rank Test) - PROC UNIVARIATE

 어떤 분포의 평균이 특정 값인지 확인하는 방법을 이전에는 일표본 T검정 (One-Sample T test)로 시행했었다. (2022.09.30 - [모평균 검정/SAS] - [SAS] 일표본 T검정 (One-sample T-test) - PROC TTEST) 하지만 여기에는 중요한 가정이 필요한데, 분포가 정규성을 따르는 것이다. 하지만 분포가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One-Sample Wilcoxon Signed Rank Test (일표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One-Sample Wilcoxon Signed Rank Test (일표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실습용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2022.08.04 - [공지사항 및 소개] -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12.18)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12.18)

2022년 12월 18일 버전입니다. 변수는 계속하여 추가될 예정입니다. 다음 카테고리에 있는 글에서 이용된 데이터입니다. - 기술 통계 - 범주형 자료 분석 - 모평균 검정 - 상관분석 - 반복 측정 자료

medistat.tistory.com

 

시작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파일을 불러온다.

라이브러리 만드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라이브러리 만들기 - LIBNAME

파일 불러오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 PROC IMPORT, PROC EXPORT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목표: 모집단에서 신경심리검사 1 원점수의 중앙값이 55이라고 할 수 있는가?

 이번 포스팅의 목적은 1000명의 데이터를 가지고, 이 1000명이 기원한 모집단에서 신경심리검사 1 원점수의 중앙값이 55이라고 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전제조건 (정규성) - 코드

 만약 정규성을 따른다면 t-test를 하면 되므로 정규성 여부를 파악하도록 한다. 정규성 검정에 관한 분석 내용은 다음 글에서 살펴볼 수 있다.  2022.08.12 - [기술 통계/SAS] - [SAS] 정규성 검정 - PROC UNIVARIATE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VAR NP1_raw;
HISTOGRAM NP1_raw/ NORMAL (MU=EST SIGMA=EST);
RUN;

 

정규성 검정 - 결과

 

 N수가 2,000개 미만이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면 0.05 이하이며, Q-Q Plot은 대부분의 데이터가 선상에 있지 않고, 히스토그램에서도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일표본 T검정 (One-sample T-test)를 시행할 수 없고, 일표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One-Sample 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시행해야 한다.

 

일표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One-Sample Wilcoxon Signed Rank Test)의 귀무가설과 대립 가설

 

이번 일표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One-Sample Wilcoxon Signed Rank Test)의 귀무가설, 대립 가설은 다음과 같다.

귀무가설: $H_0=$ 모집단의 NP1_raw 중앙값은 55이다.

대립 가설:  $H_1=$ 모집단의 중앙값은 55보다 크거나 작다. (양측 검정)

 

일표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One-Sample Wilcoxon Signed Rank Test) 코드

PROC UNIVARIATE DATA=hong.df MU0=55;
VAR NP_1_raw;
RUN;

PROC UNIVARIATE DATA=hong.df MU0=55; : hong 라이브러리의 df데이터를 사용하고, 검정할 중앙값은 55다.
VAR NP1_raw; : NP1_raw에 대해 검정을 시행하라.

결과

우리가 보아야 할 내용은 부호 순위의 p값이다. 0.0001보다 작으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 가설을 선택하며 중앙값이 55는 아니라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알려진 중앙값에 대해 일표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코드

위 정규성 검정에서 중앙값은 49.96328로 거의 50에 근사한다. 그렇다면 50에 대해 검정하면 어떤 결과를 내보일까?

PROC UNIVARIATE DATA=hong.df MU0=50;
VAR NP1_raw;
RUN;

 

결과

p-value가 0.6560>0.05로 귀무가설을 채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며, 중앙값이 50이 아니라고는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요한 가정: 대칭성

위 논의에서 빠진 정말 중요한 가정이 하나 있다. 신경심리검사 1 원점수 (NP1_raw)의 분포가 어떤 점수를 기점으로 좌우대칭이라는 것이다.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은 좌우대칭일 때 그 검정력이 극대화되며, 좌우대칭이 아니면 정확도가 떨어진다. 신경심리검사 1 원점수 (NP1_raw)의 분포를 히스토그램을 통해 알아보자. 이는 위의 정규성 검정에서 나와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봉우리가 세 개인 Trimodal shape을 하고 있고, 중앙값인 50을 기준으로 대칭인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위 분석에는 문제가 없는 듯하다.

 

가정이 성립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궁금하고, 문제가 되는 상황은 가정이 성립하지 않는 상황이다. 실제로 이럴 때가 많기 때문이다. 신경심리검사 2 원점수인 NP2_raw데이터의 분포를 확인해보자.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VAR NP2_raw;
HISTOGRAM NP2_raw/ NORMAL (MU=EST SIGMA=EST);
RUN;

이는 심하게 오른쪽으로 치우쳐진 right skewed data다. 이때 중위수(1.004532)에 대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시행하면 어떻게 될까?

PROC UNIVARIATE DATA=hong.df MU0=1.004532;
VAR NP2_raw;
RUN;

참 중앙값으로 "NP2_raw의 중앙값이 참 중앙값과 같니?"라고 물어보았는데 "아니요"라고 대답하는 참사가 벌어진다. 이는 분포에 대칭성이 없기 때문이다. 이럴 때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이 많지 않긴 한데, 그중 하나는 변환 (transformation)이다. 이런 right skewed data는 로그 변환 (log-transformation)을 하면 대칭성이 갖추어지는 경우가 많다. 로그 변환을 하고 히스토그램을 그려 분포를 확인해보자. (로그 변환에 관한 글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2022.10.06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변수 계산 (산술 연산) - DATA, SET)

DATA hong.df;
SET hong.df;
log_NP2_raw=log(NP2_raw);
RUN;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VAR log_NP2_raw;
HISTOGRAM log_NP2_raw/ NORMAL (MU=EST SIGMA=EST);
RUN;

 

충분히 대칭성을 띄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혹시 정규성을 띄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정규성을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음을 알 수 있다. 

히스토그램에서는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 같아 보이지만, QQ plot에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점들이 많고, Shapiro-wilk test에서 p-value가 매우 작게 나오므로 정규성을 띠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것이 맞다. 따라서 일표본 t검정(One-sample t-test)이 아닌 일표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One sample 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시행해야 한다. 위와 같이 log_NP2_raw의 중앙값에 대해 검정해보자.

 

코드

PROC UNIVARIATE DATA=hong.df MU0=0.00452;
VAR log_NP2_raw;
RUN;

p-value가 0.7366으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게 되어 중앙값은 0.00452가 아니라고 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리게 된다.

 

 

그 외 다룰 내용 1: 정규성을 안 따르면 꼭 Wilcoxon test를 시행해야 하나?

 T-test의 전제조건은 표본 평균이 정규분포를 따르는 것이다. 그런데 중심 극한 정리에 따라 표본의 수 (우리 데이터에서는 n=1,000)가 커질수록 표본 평균의 분포는 정규성을 띠게 된다. 따라서 n수가 적당히 크기만 하면 표본이 정규분포를 따르는지와 관계없이 표본평균은 정규성을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정규성과 관계없이 n수가 크기만 하면 t-test의 이용이 정당화되기도 한다. 합리적인 말이다.

 그런데 왜 정규분포를 따르는지 왜 다들 확인할까? 만약 모분포가 정규분포였다면 표본도 정규분포를 따를 확률이 높아진다. 물론 꼭 그런 건 아니지만 말이다. 따라서 표본이 정규분포를 따른다면, 모분포를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할 수 있고, 그렇다면 n수가 작아도 표본 평균의 분포도 정규성을 따르니 t-test를 사용해도 되는 안전한 환경이 구축된다. 이런 이유로 정규성을 확인하게 된다.

 

그 외 다룰 내용 2: Wilcoxon signed rank test는 짝지어진 자료의 검정방법 아닌가?

 맞다. 하지만 one sample test에도 사용될 수 있다. 모수적 방법에서 대응 표본 T 검정 (paired T test)가 사실 일표본 T 검정 (One sample T test)와 같다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이야기다. (대응 표본 T검정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2022.10.07 - [반복 측정 자료 분석/SAS] - [SAS] 대응 표본 T검정 (Paired samples T-test) - PROC TTEST)

 

그 외 다룰 내용 3: SAS의 결과는 왜 SPSS/R과 다른가?

SPSS와 R의 Wilcoxon signed rank test와 통계량, p값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 SPSS와 R의 Wilcoxon signed rank test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2.11.29 - [모평균 검정/R] - [R] 일표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비모수 일표본 중앙값 검정: One-Sample Wilcoxon Signed Rank Test) - wilcox.test()

2022.12.02 - [모평균 검정/SPSS] - [SPSS] 일표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비모수 일표본 중앙값 검정: One-Sample Wilcoxon Signed Rank Test)

 

다르게 나오는 것이 맞다.

 1) 통계량: SPSS와 R은 계산된 통계량을 바로 제시한다. 하지만 SAS는 부호 순위 통계량의 기댓값인 $\frac {n(n+1)}{4}$를 뺀 값을 제시한다. 따라서 다를 수밖에 없다.

 2) R에서는 중앙값 자체를 코드에 넣었지만, 본 포스팅에서는 중앙값이라고 제시된 반올림된 값을 코드에 넣었다.

 3) (가장 중요한 내용) R과 SPSS는 윌콕슨 부호 순위 통계량을 정규분포에 근사시키지만, SAS는 t 분포에 근사 시키며 이용하는 분산도 아주 조금은 다르다. 

 4) 하지만, 표본의 수가 20이하일 때에는 근사 시키지 않은 정확한 p-value (exact p-value)을 사용한다. R에서도 50 미만인 표본에 대해서는 exact method를 사용하므로 20 미만의 표본의 수를 가진 데이터로 검정할 때에는 같은 결과를 내주게 된다.

 

코드 정리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NP1_raw;

*정규성 검정;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VAR NP1_raw;
HISTOGRAM NP1_raw/ NORMAL (MU=EST SIGMA=EST);
RUN;

*Wilcoxon signed rank test;
PROC UNIVARIATE DATA=hong.df MU0=55;
VAR NP_1_raw;
RUN;

*중앙값 근사치(50)으로 검정하기;
PROC UNIVARIATE DATA=hong.df MU0=50;
VAR NP1_raw;
RUN;



**NP2_raw;

*NP2_raw 대칭성 확인;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VAR NP2_raw;
HISTOGRAM NP2_raw/ NORMAL (MU=EST SIGMA=EST);
RUN;

*NP2_raw 비대칭이지만 wilcoxon test 시행하기;
PROC UNIVARIATE DATA=hong.df MU0=1.004532;
VAR NP2_raw;
RUN;

*로그변환 후 히스토그램으로 대칭성 확인하기, 정규성 검정하기;
DATA hong.df;
SET hong.df;
log_NP2_raw=log(NP2_raw);
RUN;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VAR log_NP2_raw;
HISTOGRAM log_NP2_raw/ NORMAL (MU=EST SIGMA=EST);
RUN;

*로그변환된 변수로 Wilcoxon test 시행하기;
PROC UNIVARIATE DATA=hong.df MU0=0.00452;
VAR log_NP2_raw;
RUN;

 

[SAS] 일표본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 (비모수 일표본 중앙값 검정: One-Sample Wilcoxon Signed Rank Test) 정복 완료!

 

작성일: 2022.12.19.

최종 수정일: 2022.12.19.

이용 프로그램: SAS v9.4

운영체제: Windows 10

반응형
반응형

[SAS] 등분산 가정이 성립하지 않는 일원 배치 분산 분석 (Welch's ANOVA) - PROC GLM, PROC MIXED

 

이전 포스팅에서 흡연 상태를 "1) 비흡연자", "2) 과거 흡연자", "3) 현재 흡연자"로 나누었고, 각 그룹의 폐기능 검사 중 하나인 FVC (Forced Vital Capacity)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여 일원 배치 분산 분석 (ANOVA)를 시행하였다. 2022.10.12 - [모평균 검정/SAS] - [SAS] 일원 배치 분산 분석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 PROC GLM, PROC ANOVA

 

ANOVA의 전제 조건은 두 가지였다.

1) 정규성

2) 등분산성

 

만약 '1) 정규성'은 만족하지만 '2) 등분산성'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당연히, 이전 포스팅의 일반적인 ANOVA는 실시할 수 없고, Welch's ANOVA를 시행해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Welch's ANOVA를 다뤄보고자 한다.

 

*실습용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2022.08.04 - [공지사항 및 소개] -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11.26)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11.26)

2022년 11월 26일 버전입니다. 변수는 계속하여 추가될 예정입니다. 다음 카테고리에 있는 글에서 이용된 데이터입니다. - 기술 통계 - 범주형 자료 분석 - 모평균 검정 - 반복 측정 자료 분석 - 통계

medistat.tistory.com

 

시작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파일을 불러온다.

라이브러리 만드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라이브러리 만들기 - LIBNAME

파일 불러오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 PROC IMPORT, PROC EXPORT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목표:  거주 지역 단위에 따라 삶의 질의 평균이 모집단 수준에서 서로 다르다고 말할 수 있는가?

 

전제조건 (정규성)

 Welch's ANOVA에는 하나의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본 포스팅의 예시에 맞추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정규성: 대도시, 중소도시, 시골 거주자 별로 삶의 질의 분포를 보았을 때 각각의 분포는 정규성을 따른다. 

 

그리고, 분산은 같지 않아도 된다.

 

1) 정규성 

정규성 검정에 관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2.08.12 - [기술 통계/SAS] - [SAS] 정규성 검정 - PROC UNIVARIATE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CLASS RESID;
VAR QOL;
HISTOGRAM QOL/ NORMAL (MU=EST SIGMA=EST);
RUN;

 

결과

1) 대도시 거주자 (RESID=0)

 표본의 수가 2,000이 되지 않으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아야 하고, 이는 0.05보다 크다. Q-Q plot, 히스토그램에서 정규성을 띠지 않는다고 할만한 근거가 없으므로 정규성을 따른다고 결론을 짓는다.

 

 

2) 중소도시 거주자 (RESID=1)

 표본의 수가 2,000이 되지 않으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아야 하고, 이는 0.05보다 크다. Q-Q plot, 히스토그램에서 정규성을 띠지 않는다고 할만한 근거가 없으므로 정규성을 따른다고 결론을 짓는다.

 

3) 시골 거주자 (RESID=2)

 표본의 수가 2,000이 되지 않으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아야 하고, 이는 0.05보다 크다. Q-Q plot, 히스토그램에서 정규성을 띠지 않는다고 할만한 근거가 없으므로 정규성을 따른다고 결론을 짓는다.

 

따라서 정규성 전제는 따른다고 할 수 있다.

 

 

2) 등분산성

분산이 같은지 확인해보도록 하겠다.

등분산성 검정에 관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2.10.04 - [모평균 검정/SAS] - [SAS]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 PROC TTEST

2022.10.05 - [모평균 검정/SAS] - [SAS] 등분산성 검정 (Homogeneity of variance) - PROC GLM

 

위 두 개 글에서 제시한 네 가지 방법 모두를 사용하여 등분산 검정을 시행해 보겠다.

*1) Levene;
PROC GLM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
MEANS RESID/ HOVTEST=LEVENE(TYPE=ABS);
RUN;

*2) O'Brien;
PROC GLM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
MEANS RESID/ HOVTEST=OBRIEN;
RUN;

*3) Brwon and Forsythe;
PROC GLM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
MEANS RESID/ HOVTEST=BF;
RUN;

*4) Bartlett;
PROC GLM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
MEANS RESID/ HOVTEST=BARTLETT;
RUN;
QUIT;

 

결과

1) Levene

2) O'Brien

3) Brown and Forsythe

4) Bartlett

 어떤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p-value<0.0001로 등분산성은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원 배치 분산 분석 (One-way ANOVA)이 아닌 Welch's ANOVA를 시행해야 한다.

 

Welch's 일원 배치 분산 분석 (Welch's One way ANOVA) 코드

PROC GLM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
MEANS RESID/ WELCH;
RUN;
QUIT;

PROC GLM DATA=hong.df; : Welch's ANOVA를 시행할 수 있는 PROC GLM으로 코드를 시작한다. 데이터는 hong 라이브러리의 df데이터를 활용한다.
CLASS RESID; : RESID에 따른 평균을 비교할 것이다.
MODEL QOL=RESID; : RESID에 따른 QOL의 평균을 비교할 것이다.

MEANS RESID/ WELCH; : RESID의 평균을 보여주고, Welch's ANOVA를 추가로 시행하라.

결과

P-value가 <0.0001이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 가설을 채택한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귀무가설 및 대립 가설은 무엇이었는가?

 

 귀무가설:  $H0=$ 세 집단의 모평균은 "모두" 동일하다.

 대립 가설:  $H1=$ 세 집단의 모평균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다.

 

우리는 대립 가설을 채택해야 하므로 "세 집단의 모평균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다."라고 결론 내릴 것이다.

이 말은, 세 집단 중 두 개씩 골라 비교했을 때, 적어도 한 쌍에서는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세 집단 중 두 개씩 골라 비교를 해보아야 하며, 이를 사후 분석 (post hoc analysis)이라고 한다. 세 집단에서 두 개씩 고르므로 가능한 경우의 수는 $_3 C_2=3$이다.

 (1) 대도시 거주자 vs 중소도시 거주자

 (2) 대도시 거주자 vs 시골 거주자

 (3) 중소도시 거주자 vs 시골 거주자

 

사후 분석을 시행할 것이다.

이전 일반 ANOVA 포스팅(2022.10.12 - [모평균 검정/SAS] - [SAS] 일원 배치 분산 분석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 PROC GLM, PROC ANOVA)에서는 많은 사후 분석 방법이 있다고 소개했었다. 하지만 등분산이 가정되지 않는 상황에서 쓸 수 있는 사후 분석 방법은 현저히 적어진다. 많이들 쓰는 방법은 다음 네 가지다.

 

1) Tamhane's T2

2) Games-Howell

3) Dunnett's T3

4) Dunnett's C

 

하지만 마지막 Dunnett's C는 SAS에서 제공하지 않으므로 위 세 가지 방법에 대해서만 알아보도록 하겠다. 

 

사후 분석 코드

*1) Tamhane's T2;

PROC MIXED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DDFM=SATTERTH;
REPEATED/GROUP=RESID;
LSMEANS RESID/ADJUST=SIDAK ADJDFE=ROW;
RUN;

*2) Games-Howell;

PROC MIXED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DDFM=SATTERTH;
REPEATED/GROUP=RESID;
LSMEANS RESID/ADJUST=TUKEY ADJDFE=ROW;
RUN;

*3) Dunnett's T3;

PROC MIXED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DDFM=SATTERTH;
REPEATED/GROUP=RESID;
LSMEANS RESID/ADJUST=SMM ADJDFE=ROW;
RUN;

PROC MIXED DATA=hong.df; : 사후 분석을 시행하는 PROC MIXED로 시작하고, 데이터는 hong 라이브러리의 df 데이터를 사용한다.
CLASS RESID; : RESID에 따라 사후 분석을 시행한다.
MODEL QOL=RESID/DDFM=SATTERTH; : RESID에 따른 QOL 평균의 비교를 한다. (DDFM=SATTERTH는 자유도를 근사시킬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
REPEATED/GROUP=RESID; : 이는 R matrix 추정에 관한 내용이다.
LSMEANS RESID/ADJUST=SIDAK ADJDFE=ROW; : "ADJUST=SIDAK"과 "ADJDFE=ROW"의 조합은 Tamhane's T2 사후 검정을 하도록 지시한다.
"ADJUST="에 "TUKEY"를 넣으면 Games-Howell, "SMM"을 넣으면 Dunnett's T3검정을 시행한다. 

 

 

1) Tamhane's T2

2) Games-Howell

3) Dunnett's T3

봐야 할 것은 "Adj P", 즉 보정된 p-value이다. 방법에 관계없이 p-value는 모두 0.0001보다 작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결론 내릴 수 있다.

대도시 거주자 (0)과 중소도시 거주자 (1) 사이에는 QOL 평균에 차이가 있다.

대도시 거주자 (0)과 시골 거주자 (2) 사이에는 QOL 평균에 차이가 있다.

중소도시 거주자 (1)과 시골 거주자 (2) 사이에는 QOL 평균에 차이가 있다.

 

어떤 사후 분석을 쓸 것인가

 이 논의에 대해 정답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논문에 제시하면 되고, 어떤 것이 정답이라고 콕 집어 이야기할 수는 없다. 다만, 사후 분석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다는 것은 '사후 분석 방법에 따라 산출되는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심지어는 '어떤 사후 분석 방법을 채택하냐에 따라 유의성 여부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지어, Welch's ANOVA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왔는데, 사후 분석을 해보니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떤 사후 분석 방법 결과에 따른 결과인지 유의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코드 정리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정규성 검정하기;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CLASS RESID;
VAR QOL;
HISTOGRAM QOL/ NORMAL (MU=EST SIGMA=EST);
RUN;

*등분산성 검정하기;
*1) Levene;
PROC GLM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
MEANS RESID/ HOVTEST=LEVENE(TYPE=ABS);
RUN;

*2) O'Brien;
PROC GLM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
MEANS RESID/ HOVTEST=OBRIEN;
RUN;

*3) Brwon and Forsythe;
PROC GLM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
MEANS RESID/ HOVTEST=BF;
RUN;

*4) Bartlett;
PROC GLM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
MEANS RESID/ HOVTEST=BARTLETT;
RUN;
QUIT;

*Welch's ANOVA 시행하기;
PROC GLM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
MEANS RESID/ WELCH;
RUN;
QUIT;

*사후분석 시행하기;
*1) Tamhane's T2;

PROC MIXED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DDFM=SATTERTH;
REPEATED/GROUP=RESID;
LSMEANS RESID/ADJUST=SIDAK ADJDFE=ROW;
RUN;

*2) Games-Howell;

PROC MIXED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DDFM=SATTERTH;
REPEATED/GROUP=RESID;
LSMEANS RESID/ADJUST=TUKEY ADJDFE=ROW;
RUN;

*3) Dunnett's T3;

PROC MIXED DATA=hong.df;
CLASS RESID;
MODEL QOL=RESID/DDFM=SATTERTH;
REPEATED/GROUP=RESID;
LSMEANS RESID/ADJUST=SMM ADJDFE=ROW;
RUN;

 

사실 등분산성이 만족하지 않을 때 시행할 수 있는 ANOVA로 Welch's ANOVA 외에도 Brown and Forsythe ANOVA가 있다. 이것과 Dunnett's C 사후 검정을 SPSS에서는 시행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SPSS에서 시행해볼 수도 있겠다.

 

[SAS] 등분산 가정이 성립하지 않는 일원 배치 분산 분석 (Welch's ANOVA) 정복 완료!

 

작성일: 2022.11.26.

최종 수정일: 2022.11.26.

이용 프로그램: SAS v9.4

운영체제: Windows 10

반응형
반응형

[SAS] 일원 배치 분산 분석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 PROC GLM, PROC ANOVA

 이전 포스팅에서 음주 여부에 따른 ALT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 test를 사용한다는 내용을 알아보았다. 2022.10.04 - [모평균 검정/SAS] - [SAS]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 PROC TTEST

 음주 여부는 "1) 음주자", "2) 비음주자"로 나뉘는 이분형 변수다. 즉, 음주자의 ALT 평균과 비음주자의 ALT 평균을 비교한 것이었다. 

 

 만약, 두 개 이상의 범주로 나뉘는 변수에 대해 모평균의 검정을 하고자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예를 들어, 흡연 상태를 "1) 비흡연자", "2) 과거 흡연자", "3) 현재 흡연자"로 나누었고, 각 그룹의 폐기능 검사 중 하나인 FVC (Forced Vital Capacity)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일원 배치 분산 분석인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이며 이번 포스팅에서 다뤄볼 주된 내용이다.

 

*실습용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2022.08.04 - [공지사항 및 소개] -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10.11)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10.11)

2022년 10월 11일 버전입니다. 변수는 계속하여 추가될 예정입니다. 다음 카테고리에 있는 글에서 이용된 데이터입니다. - 기술 통계 - 범주형 자료 분석 - 모평균 검정 - 반복 측정 자료 분석 - 통계

medistat.tistory.com

 

시작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파일을 불러온다.

라이브러리 만드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라이브러리 만들기 - LIBNAME

파일 불러오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 PROC IMPORT, PROC EXPORT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목표: 흡연 상태에 따라 FVC 평균은 서로 다르다고 모집단 수준에서 말할 수 있는가?

 

전제조건 (정규성, 등분산성)

 ANOVA에는 두 가지 전제조건이 필요하다. 본 포스팅의 예시에 맞추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정규성: 현재 흡연자, 과거 흡연자, 비흡연자 별로 FVC의 분포를 보았을 때 각각의 분포는 정규성을 따른다. 

 2) 등분산성: 현재 흡연자, 과거 흡연자, 비흡연자 별로 FVC의 분포를 보았을 때 분산은 서로 같다.

 

따라서 각각을 검정해야 한다.

 

1) 정규성 

정규성 검정에 관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2.08.12 - [기술 통계/SAS] - [SAS] 정규성 검정 - PROC UNIVARIATE

 

 SMOK: 흡연 상태

 FVC_pPRED: FVC의 백분위 예측치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CLASS SMOK;
VAR FVC_pPRED;
HISTOGRAM FVC_pPRED/ NORMAL (MU=EST SIGMA=EST);
RUN;

 

결과 - 1) 비흡연자 (SMOK=0)

.

 표본의 수가 2,000이 되지 않으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아야 하고, 이는 0.05보다 크다. Q-Q plot, 히스토그램에서 정규성을 띠지 않는다고 할만한 근거가 없으므로 정규성을 따른다고 결론을 짓는다.

 

결과 - 2) 과거 흡연자 (SMOK=1)

 표본의 수가 2,000이 되지 않으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아야 하고, 이는 0.05보다 크다. Q-Q plot, 히스토그램에서 정규성을 띠지 않는다고 할만한 근거가 없으므로 정규성을 따른다고 결론을 짓는다.

 

결과 - 3) 현재 흡연자 (SMOK=2)

 표본의 수가 2,000이 되지 않으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아야 하고, 이는 0.05보다 크다. Q-Q plot, 히스토그램에서 정규성을 띠지 않는다고 할만한 근거가 없으므로 정규성을 따른다고 결론을 짓는다.

 

 따라서 정규성 전제조건은 만족한다고 할 수 있다.

 

2) 등분산성 

등분산성 검정에 관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2.10.04 - [모평균 검정/SAS] - [SAS]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 PROC TTEST

2022.10.05 - [모평균 검정/SAS] - [SAS] 등분산성 검정 (Homogeneity of variance) - PROC GLM

 

위 두 개 글에서 제시한 네 가지 방법 모두를 사용하여 등분산 검정을 시행해 보겠다.

*1) Levene;
PROC GLM DATA=hong.df;
CLASS SMOK;
MODEL FVC_pPRED=SMOK;
MEANS SMOK/ HOVTEST=LEVENE(TYPE=ABS);
RUN;

*2) O'Brien;
PROC GLM DATA=hong.df;
CLASS SMOK;
MODEL FVC_pPRED=SMOK;
MEANS SMOK/ HOVTEST=OBRIEN;
RUN;

*3) Brwon and Forsythe;
PROC GLM DATA=hong.df;
CLASS SMOK;
MODEL FVC_pPRED=SMOK;
MEANS SMOK/ HOVTEST=BF;
RUN;

*4) Bartlett;
PROC GLM DATA=hong.df;
CLASS SMOK;
MODEL FVC_pPRED=SMOK;
MEANS SMOK/ HOVTEST=BARTLETT;
RUN;
QUIT;

 

결과

1) Levene

2) O'Brien

3) Brown and Forsythe

4) Bartlett

 어떤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p-value>0.05로 등분산성이라는 전제조건을 만족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원 배치 분산 분석 (One-way ANOVA)를 시행할 수 있다.

 

 

일원 배치 분산 분석 (One way ANOVA) 코드

*1)사후분석- 본페로니;
PROC GLM DATA=hong.df;
CLASS SMOK;
MODEL FVC_pPRED=SMOK;
MEANS SMOK/BON CLDIFF;
RUN;
QUIT;

*2)사후분석- 본페로니;
PROC GLM DATA=hong.df;
CLASS SMOK;
MODEL FVC_pPRED=SMOK;
LSMEANS SMOK/ADJUST=BON PDIFF;
RUN;
QUIT;

*3)사후분석- 던칸;
PROC GLM DATA=hong.df;
CLASS SMOK;
MODEL FVC_pPRED=SMOK;
MEANS SMOK/DUNCAN;
RUN;
QUIT;

세 가지 방법으로 코드를 소개했지만, 모두 대동소이하다. 첫 세 줄이 ANOVA 코드로 모두 동일하다. 네 번째 줄은 사후 분석 및 출력 방법에 대한 코드다. 사후 분석에 대해서는 아래에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사후 분석: 본페로니(BONferroni) 방법을 사용하고, 차이의 신뢰구간 (Confidence Limits for DIFFerence)을 나타내라.
PROC GLM DATA=hong.df; : 일반화 선형 모델 (GLM)을 시행하겠다. 데이터는 hong라이브러리의 df파일을 사용하라.
CLASS SMOK; : 흡연 상태에 따라 분산 분석 (ANOVA)를 시행하라.
MODEL FVC_pPRED=SMOK; : 흡연 상태(SMOK)에 따라 FVC % 예측치(FVC_pPRED)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나타내라.
MEANS SMOK/BON CLDIFF; : 흡연 상태(SMOK)에 따른 FVC % 예측치(FVC_pPRED)의 평균을 보여달라. 사후 분석은 본페로니(BONferroni, BON) 방법을 사용하고, 차이의 신뢰구간 (Confidence Limits for DIFFerence, CLDIFF)을 보여달라

 - CLDIFF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MEANS"로 시작하는 구문을 사용해야 한다.

2) 사후 분석: 본페로니(BONferroni) 방법을 사용하고, 차이의 p-value (P-value for DIFFerence)를 나타내라.
PROC GLM DATA=hong.df; : 일반화 선형 모델 (GLM)을 시행하겠다. 데이터는 hong라이브러리의 df파일을 사용하라.
CLASS SMOK; : 흡연 상태에 따라 분산 분석 (ANOVA)를 시행하라.
MODEL FVC_pPRED=SMOK; : 흡연 상태(SMOK)에 따라 FVC % 예측치(FVC_pPRED)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나타내라.
LSMEANS SMOK/ADJUST=BON PDIFF; : 흡연 상태(SMOK)에 따른 FVC % 예측치(FVC_pPRED)의 최소 제곱 평균(Least Squares MEANS, LSMEANS)을 보여달라. 사후 분석은 본페로니(BONferroni, BON) 방법을 사용하고, 차이의 p-value (P-value for DIFFerence)를 보여달라

 - PDIFF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LSMEANS"로 시작하는 구문을 사용해야 한다.

3) 사후 분석: 던칸(DUNCAN) 방법을 사용하라.
PROC GLM DATA=hong.df; : 일반화 선형 모델 (GLM)을 시행하겠다. 데이터는 hong라이브러리의 df파일을 사용하라.
CLASS SMOK; : 흡연 상태에 따라 분산 분석 (ANOVA)를 시행하라.
MODEL FVC_pPRED=SMOK; : 흡연 상태(SMOK)에 따라 FVC % 예측치(FVC_pPRED)의 평균에 차이가 있는지 나타내라.
MEANS SMOK/DUNCAN; : 흡연 상태(SMOK)에 따른 FVC % 예측치(FVC_pPRED)의 평균을 보여달라. 사후 분석은 던칸(DUNCAN) 방법을 사용하라.

결과

 위 세 개의 코드에서 공통적인 부분 (ANOVA)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P-value가 <0.0001이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 가설을 채택한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귀무가설 및 대립 가설은 무엇이었는가?

 

 귀무가설:  $H0=$ 세 집단의 모평균은 "모두" 동일하다.

 대립 가설:  $H1=$ 세 집단의 모평균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다.

 

우리는 대립 가설을 채택해야 하므로 "세 집단의 모평균이 모두 동일한 것은 아니다."라고 결론 내릴 것이다.

이 말은, 세 집단 중 두 개씩 골라 비교했을 때, 적어도 한 쌍에서는 차이가 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세 집단 중 두 개씩 골라 비교를 해보아야 하며, 이를 사후 분석 (post hoc analysis)이라고 한다. 세 집단에서 두 개씩 고르므로 가능한 경우의 수는 $_3 C_2=3$이다.

 (1) 비흡연자 vs 과거 흡연자

 (2) 비흡연자 vs 현재 흡연자

 (3) 과거 흡연자 vs 현재 흡연자

 

사후 분석 결과 부분을 보겠다.

 

 

1) 사후 분석으로 본페로니(BONferroni) 방법을 사용하고, 차이의 신뢰구간 (Confidence Limits for DIFFerence)을 나타내라.

 빨간 박스를 먼저 설명하면, 비흡연자 (SMOK=0)가 과거 흡연자 (SMOK=1)보다 FVC가 9.5328%p 더 크다. 그 차이의 95% 신뢰구간은 7.2168에서 11.8499이다. 즉 신뢰구간에 0이 포함되어있지 않으므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경우 노란 박스의 "***" 표시를 해준다. 밑의 결과도 해석은 같다. 

 즉, 모든 사후 분석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2) 사후 분석: 본페로니(BONferroni) 방법을 사용하고, 차이의 p-value (P-value for DIFFerence)를 나타내라.

 위의 방법 1)에서는 95% 신뢰구간만을 보여주고, p-value가 0.05보다 작은지만 보여줄 뿐, 정확한 p-value의 값은 알려주지 않는다. 정확한 p-value값을 알고 싶은 경우 LSMEANS구문에 PDIFF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위의 빨간 박스는 그룹 1 (비흡연자)와 그룹 2(과거 흡연자) 사이의 평균의 차이에 대한 p-value를 보여준다. 위와 다르게 p-value를 보여준다는 장점은 있지만, 그 차이가 얼마인지, 신뢰구간은 얼마인지 보여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둘 중 어떤 방법으로 출력을 할지는 개인이 선택을 하면 된다.

 

3) 사후 분석: 던칸(DUNCAN) 방법을 사용하라.

 

이 시점에서 이런 의문이 들 수 있다.

"각각의 그룹별로 평균을 비교하면 되지, 굳이 왜 ANOVA라는 방법까지 사용하는 것인가?"

 아주 논리적인 의문점이다. 하지만, 반드시 ANOVA를 사용해야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본 사례는 흡연 상태에 따른 조합 가능한 경우의 수가 3인데, 각각 유의성의 기준을 $\alpha=0.05$로 잡아보자. 이때 세 번의 비교에서 모두 귀무가설이 학문적인 진실인데(평균에 차이가 없다.), 세 번 모두 귀무가설을 선택할 확률은 $(1-0.95)^3 \approx 0.86$이다. (이해가 어려우면 p-value에 대한 설명 글을 읽고 오길 바란다. 2022.09.05 - [통계 이론] - [이론] p-value에 관한 고찰)

 그런데, ANOVA의 귀무가설은 "모든 집단의 평균이 같다."이다. 따라서 모든 집단의 평균이 같은 것이 학문적 진실일 때, 적어도 한 번이라도 대립 가설을 선택하게 될 확률은 $1-0.86=0.14$가 된다. 즉, 유의성의 기준이 올라가게 되어, 덜 보수적인 결정을 내리게 되고, 다시 말하면 대립 가설을 잘 선택하는 쪽으로 편향되게 된다. 학문적으로는 '다중 검정 (multiple testing)을 시행하면 1종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라고 표현한다.

 따라서, 각각을 비교해보는 것이 아니라 한꺼번에 비교하는 ANOVA를 시행해야 함이 마땅하다. 

 

 여기에서 한 번 더 의문이 들 수 있다.

 "사후 분석을 할 때에는 1종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가?"

그렇다. 1종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있으므로, p-value의 기준을 더 엄격하게 (0.05보다 더 작게) 잡아야 한다. P-value를 보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나와있는데, 가장 간단하고 제일 보수적인 방법이 위에 예시에서 사용한 본페로니 방법이다. 그 외에도 많은 방법이 있고 다른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BON의 자리에 다음 중 하나를 입력하면 된다.

 

코드 내용 코드 내용
BON Bonferroni t test SCHEFFE Scheffe's multiple comparison
DUNCAN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IDAK Pairwise t test (Sidak's inequality)
DUNNETT Dunnett's two-tailed t test SMM (혹은 GT2) Pairwise comparisons (studentized maximum modulus, Sidak's uncorrelated t-inequality)
DUNNETTL Dunnett's one-tailed t test (less) SNK Student-Newman-Keuls
DUNNELLU Dunnett's one-tailed t test (greater) T (혹은 LSD) Pairwise t test
GABRIEL Gabriel's multiple comparison TUKEY Tukey's studentized range test
REGWQ Ryan-Einot-Habriel-Welsch WALLER Waller-Duncan k-ratio  t test

 

굉장히 많은 방법이 있지만, Bonferroni, Duncan, Scheffe, Tukey가 가장 많이 쓰이는 듯하다. 이 중에 Duncan, Tukey는 그룹별로 표본의 수가 같을 때만 사용해야 하므로 유의하도록 한다.

 

그중에 DUNCAN옵션을 사용하여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막대기가 연결되어 있으면 평균이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없는 것이고, 끊어져 있으면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위의 경우 비흡연자 (SMOK=0)은 파란 막대기가 있고, 과거 흡연자 (SMOK=1)는 빨간 막대기로 파란 막대기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과거 흡연자의 FVC는 비흡연자의 FVC와 유의하게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현재 흡연자 (SMOK=2)는 초록 막대기로 파랑 및 빨간 막대기와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 흡연자의 FVC는 비흡연자 및 과거 흡연자의 FVC와 유의하게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즉 모든 그룹에서 FVC의 평균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어떤 사후 분석을 쓸 것인가

 이 논의에 대해 정답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논문에 제시하면 되고, 어떤 것이 정답이라고 콕 집어 이야기할 수는 없다. 다만, 사후 분석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다는 것은 '사후 분석 방법에 따라 산출되는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심지어는 '어떤 사후 분석 방법을 채택하냐에 따라 유의성 여부가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심지어, ANOVA에서는 유의한 결과가 나왔는데, 사후 분석을 해보니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경우가 없을 수도 있다. 따라서 어떤 사후 분석 방법 결과에 따른 결과인지 유의하여 해석할 필요가 있다.

 

PROC ANOVA

 PROC ANOVA에 대한 설명을 듣고자 본 포스팅에 들어온 독자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다루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PROC ANOVA는 그룹별로 표본의 수가 같아야만 사용할 수 있는, 아주 제한적인 상황에서만 쓸 수 있는 코드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웬만하면 PROC GLM을 사용하길 권한다. 만약 사용하고자 한다면, PROC GLM을 PROC ANOVA로만 바꾸어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된다.

PROC ANOVA DATA=hong.df;
CLASS SMOK;
MODEL FVC_pPRED=SMOK;
MEANS SMOK;
RUN;

SAS 일원 배치 분산 분석 (One-way ANOVA, ANalysis Of VAriance) 정복 완료!

작성일: 2022.10.12.

최종 수정일: 2022.11.30.

이용 프로그램: SAS v9.4

운영체제: Windows 10

반응형
반응형

[SAS] 등분산성 검정 (Homogeneity of variance) - PROC GLM

 T-test, ANOVA 등 몇몇 분석에서는 분포들의 분산이 같다는 가정 (등분산성)이 필요하다. 이럴 때에는 등분산성 검정을 해야 하는데, 많이들 사용하는 방법은 크게 다섯 가지가 존재한다.

 

1) Fooled F

2) Levene

3) O'Brien

4) Brown and Forsythe

5) Bartlett

 

이 중 첫 번째 방법인 Fooled F 검정은 PROC TTEST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Levene의 등분산성 검정은 T-test에 관한 글에서 다루었으므로 본 포스팅에서는 다루지 않겠다. Fooled F와 Levene 등분산성 검정에 관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2.10.04 - [모평균 검정/SAS] - [SAS]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 PROC TTEST

 

 결국 우리가 확인하고자 하는 것은, "수축기 혈압 분포의 분산이 고혈압 환자군과 일반인 사이에서 다르다고 할 수 있는가?"이다. 이에 대해 설면하도록 하겠다.

 

*실습용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2022.08.04 - [공지사항 및 소개] -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08.29)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08.29)

2022년 08월 29일 버전입니다. 변수는 계속하여 추가될 예정입니다. 다음 카테고리에 있는 글에서 이용된 데이터입니다. - 기술 통계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 1) 엑셀 파일 2) CSV 파일 3) 코드북

medistat.tistory.com

 

시작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파일을 불러온다.

라이브러리 만드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라이브러리 만들기 - LIBNAME

파일 불러오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 PROC IMPORT, PROC EXPORT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코드 - 등분산성 검정

등분산성을 검정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

*O'Brien;
PROC GLM DATA=hong.df;
   CLASS HTN;
   MODEL SBP = HTN;
   MEANS HTN / HOVTEST=OBRIEN(W=0.5);
RUN;
QUIT;

*Brown and Forsythe;
PROC GLM DATA=hong.df;
   CLASS HTN;
   MODEL SBP = HTN;
   MEANS HTN / HOVTEST=BF;
RUN;
QUIT;

*Bartlett;
PROC GLM DATA=hong.df;
   CLASS HTN;
   MODEL SBP = HTN;
   MEANS HTN / HOVTEST=BARTLETT;
RUN;
QUIT;

PROC GLM DATA=hong.df; : 등분산 검정은 PROC GLM이라는 명령문으로 할 수 있다. PROC GLM을 시행하고, 데이터는 hong 라이브러리에 있는 df를 이용한다.
   CLASS HTN; : 고혈압 여부(HTN)에 따라 분산이 같은지 검정할 것이다.
   MODEL SBP = HTN; : 고혈압 여부(HTN)에 따라 수축기 혈압(SBP)의 분산이 같은지 검정할 것이다.
   MEANS HTN / HOVTEST=OBRIEN(W=0.5); : 고혈압의 평균을 구해주어라. 등분산성 검정 (HOmogeneity of Variance TEST)은 O'Brien방법을 사용한다. O'Brien 방법의 parameter는 W가 있는데 원하는 값을 넣어주면 된다. 기본 값은 0.5로 설정되어 있으며, 기본값 그대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W=0.5)"를 통째로 쓰지 않아도 괜찮다.
RUN; : 코드를 실행한다.
QUIT; : GLM코드는 QUIT구문을 실행하거나, 다른 코드를 실행해야만 끝나므로 QUIT을 실행한다.

 

Brown and Forsythe, Bartlett 방법은 각각 "OBRIEN"을 "BF", "BARTLETT"으로 바꾸어 구한 것이다.

 

결과

1) O'Brien 검정 결과

 

2) Brown and Forsythe 검정 결과

 

3) Bartlett 검정 결과

 

약간의 차이들은 있지만 모두 p-value가 0.05 이상으로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해 모분산이 서로 같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코드 정리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데이터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O'Brien;
PROC GLM DATA=hong.df;
   CLASS HTN;
   MODEL SBP = HTN;
   MEANS HTN / HOVTEST=OBRIEN(W=0.5);
RUN;
QUIT;

*Brown and Forsythe;
PROC GLM DATA=hong.df;
   CLASS HTN;
   MODEL SBP = HTN;
   MEANS HTN / HOVTEST=BF;
RUN;
QUIT;

*Bartlett;
PROC GLM DATA=hong.df;
   CLASS HTN;
   MODEL SBP = HTN;
   MEANS HTN / HOVTEST=BARTLETT;
RUN;
QUIT;

 

SAS 등분산성 검정 (Homogeneity of variance) 정복 완료!

작성일: 2022.10.05.

최종 수정일: 2022.10.05.

이용 프로그램: SAS v9.4

운영체제: Windows 10

반응형
반응형

[SAS]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 PROC TTEST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면 참 좋겠지만, 시간적인 이유로, 그리고 경제적인 이유로 일부를 뽑아서 연구를 진행할 수밖에 없다. 모든 사람을 모집단이라고 하고, 뽑힌 일부를 표본이라고 한다. 우리는 표본으로 시행한 연구로 모집단에 대한 결론을 도출해내고자 할 것이다. 

 1000명에게 피검사를 시행하였고, 간 기능 검사의 일환으로 ALT 수치를 모았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1000명이 기원한 모집단 인구에서의 ALT평균이 어떻게 될지 예측하는 것이 T-test이다. T-test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일표본 T검정 (One sample T-test) : 2022.09.30 - [모평균 검정/SAS] - [SAS] 일표본 T검정 (One-sample T-test) - PROC TTEST

 : 모집단의 평균이 특정 값이라고 할 수 있는가?

 예) 모집단의 ALT 평균이 50이라고 할 수 있는가?

 

 

 2)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Two samples T-test)

 : 두 모집단의 평균이 다르다고 할 수 있는가?

 예) 고혈압 환자와 일반인의 수축기 혈압 평균이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는가?

 

 3) 대응표본 T검정 (Paired samples T-test) : 2022.10.07 - [반복 측정 자료 분석/SAS] - [SAS] 대응 표본 T검정 (Paired samples T-test) - PROC TTEST

 : 모집단의 짝지어진 변수들의 평균이 다르다고 할 수 있는가?

예) 간기능 개선제 복용 전 ALT 평균은 간기는 개선제 복용 후 ALT 평균과 다르다고 할 수 있는가?

 

이번 포스팅에서는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Two samples T-test)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실습용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2022.08.04 - [공지사항 및 소개] -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08.29)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08.29)

2022년 08월 29일 버전입니다. 변수는 계속하여 추가될 예정입니다. 다음 카테고리에 있는 글에서 이용된 데이터입니다. - 기술 통계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 1) 엑셀 파일 2) CSV 파일 3) 코드북

medistat.tistory.com

 

시작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파일을 불러온다.

라이브러리 만드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라이브러리 만들기 - LIBNAME

파일 불러오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 PROC IMPORT, PROC EXPORT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목표: 고혈압 환자의 수축기 혈압(SBP) 평균은 정상인의 수축기혈압 평균과 다르다고 모집단 수준에서 말할 수 있는가?

 이번 포스팅의 목적은 1000명의 데이터를 가지고, 이 1000명이 기원한 모집단에서 수축기 혈압 평균이 고혈압 유병 여부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전제조건 (정규성) - 코드

 독립표본독립 표본 (Indepent samples, Two tamples) T 검정의 전제조건은 각각의 독립 표본의 분포가 정규성을 따른다는 것이다. 즉, 여기에서는 고혈압 유병 여부에 따라 수축기 혈압 (SBP)의 정규성을 검정하도록 하겠다.

 - 정규성 검정에 관한 분석 내용은 다음 글에서 살펴볼 수 있다. 2022.08.12 - [기술 통계/SAS] - [SAS] 정규성 검정 - PROC UNIVARIATE

 - PROC UNIVARIATE명령문에서 "CLASS"옵션을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 글에서 살펴볼 수 있다. 2022.09.23 - [기술 통계/SAS] - [SAS] 기술 통계 (평균, 표준편차, 표준오차, 최댓값, 최솟값, 중위수, 분위수 등) - PROC UNIVARIATE, PROC MEANS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CLASS HTN;
VAR SBP;
HISTOGRAM SBP/ NORMAL (MU=EST SIGMA=EST);
RUN;

PROC UNIVARIATE : 변수에 대해 알아보는 코드를 작성하겠다.

DATA=hong.df : 데이터는 hong이라는 라이브러리 내에 있는 df를 사용하겠다.

NORMAL : 정규성 검정을 시행해라.

PLOT : 히스토그램과 QQ plot을 그려라

CLASS HTN
VAR SBP : 분석할 변수는 SBP다
HISTOGRAM SBP : SBP의 히스토그램도 그려라

/ NORMAL (MU=EST SIGMA=EST) : 히스토그램에 정규분포 곡선도 덧붙여 그리는데, 정규분포 곡선의 평균은 SBP 데이터로부터 계산한 평균이고, 표준편차도 SBP 데이터의 표준편차다.

 

정규성 검정 - 결과

1) HTN=0 (고혈압을 앓지 않는 정상인 군)

N수가 2,000개 미만이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면 0.05 이상이며, Q-Q Plot은 대부분의 데이터가 선상에 있고, 히스토그램에서도 정규성을 따르는 것처럼 볼 수 있다. 

 

1) HTN=1 (고혈압을 앓는 환자군)

N수가 2,000개 미만이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면 0.05 이상이며, Q-Q Plot은 대부분의 데이터가 선상에 있고, 히스토그램에서도 정규성을 따르는 것처럼 볼 수 있다. 

 

 

전제조건이 성립한다. 즉, 고혈압 유병 여부에 따른 수축기 혈압 (SBP)의 분포가 정규성을 따른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독립 표본 T 검정 (Independent samples T test, Two samples T test)을 시행할 수 있다.

 

T-Test 코드

PROC TTEST DATA=hong.df;
CLASS HTN;
VAR SBP;
RUN;

PROC TTEST DATA=hong.df; : T-test를 시행하겠다. 데이터는 hong 라이브러리의 df데이터를 이용한다.
CLASS HTN; : 고혈압 여부에 따라 평균의 차이를 검정하겠다.
VAR SBP; : 검정하고자 하는변수는 수축기 혈압 (SBP)이다.

 

결과

독립 표본 T 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Two samples T-test)의 검정 결과는 두 단계에 걸쳐 확인해야 한다.

 1) 등분산성 검정

 등분산성 (Equality of Variances)을 확인해야 한다. 즉 두 분포의 분산이 같다고 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빨간색 박스의 p-value는 0.9994이다. 그러면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다. 그러면 귀무가설은 무엇이었는가?

 귀무가설:  $H_0=$ 두 집단의 모분산은 동일하다.

 대립가설:  $H_1=$ 두 집단의 모분산은 동일하지 않다.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없으므로 모분산은 같다고 생각하기로 한다.

 

2) 평균 차이 검정

PROC TTEST는 평균 차이 검정 결과를 두 가지 제공한다. 분산이 같다고 할 수 있을 때 사용하는 Pooled method, 분산이 다르다고 할 수 있을 때 사용하는 Satterthwaite method이다. 위에서 모분산이 같다고 생각하기로 했으므로 Poold method의 p-value를 보면 <0.0001으로 귀무가설을 기각할 수 있다. 그러면 귀무가설은 무엇이었는가?

 귀무가설:  $H_0=$ 두 집단의 평균 SBP는 동일하다.

 대립가설:  $H_1=$ 두 집단의 평균 SBP는 동일하지 않다.

 

고혈압이 있는 군의 평균 SBP는 150.1, 고혈압이 없는 군의 평균 SBP는 120.1이었으므로 고혈압이 있는 환자의 수축기 혈압이 정상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SAS와 SPSS의 차이

그런데, SPSS의 T-test 결과와 비교해보면 약간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SPSS에서의 T-test는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2.11.30 - [모평균 검정/SPSS] - [SPSS]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바로, 등분산성 검정 결과가 다르다. SAS에서는 "Fooled F"를 사용하고, SPSS에서는 "Levene의 등분산 검정"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다행히도 SPSS에서도, SAS에서도 모분산이 동일하다는 결론이 났지만, 간혹 서로 다른 결론을 내리기도 한다. 따라서 어떤 등분산성 검정 방법을 사용했는지 알고 있어야 한다. 

 

당연히, SAS에서도 SPSS처럼 Levene의 등분산 검정을 시행할 수 있는데 코드는 다음과 같다.

코드 - Levene의 등분산 검정

PROC GLM DATA=hong.df;
   CLASS HTN;
   MODEL SBP = HTN;
   MEANS HTN / HOVTEST=LEVENE(TYPE=ABS);
RUN;
QUIT;

PROC GLM DATA=hong.df; : Levene의 등분산 검정은 PROC GLM이라는 명령문으로 할 수 있다. PROC GLM을 시행하고, 데이터는 hong 라이브러리에 있는 df를 이용한다.
   CLASS HTN; : 고혈압 여부(HTN)에 따라 분산이 같은지 검정할 것이다.
   MODEL SBP = HTN; : 고혈압 여부(HTN)에 따라 수축기 혈압(SBP)의 분산이 같은지 검정할 것이다.
   MEANS HTN / HOVTEST=LEVENE(TYPE=ABS); : 고혈압의 평균을 구해주어라. 등분산성 검정 (HOmogeneity of Variance TEST)은 Levene방법을 사용 한다. Levene의 등분산 검정은 제곱한 값을 사용하는 SQUARE, 차이를 사용하는 ABS가 있는데 차이를 사용한다.
RUN; : 코드를 실행한다.
QUIT; : GLM코드는 QUIT구문을 실행하거나, 다른 코드를 실행해야만 끝나므로 QUIT을 실행한다.

 

이 방법 이외의 등분산성 검정 방법 (O'Brien, Brwon and Forsythe, Bartlett)에 대한 내용은 다음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22.10.05 - [모평균 검정/SAS] - [SAS] 등분산성 검정 (Homogeneity of variance) - PROC GLM

 

결과

p-value는 0.9189로 SPSS와 같음을 알 수 있고, 0.05보다 크므로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해 모분산이 같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코드 정리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데이터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고혈압 여부에 따라 정규성 검정하기;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CLASS HTN;
VAR SBP;
HISTOGRAM SBP/ NORMAL (MU=EST SIGMA=EST);
RUN;

*T-test실행하기;
PROC TTEST DATA=hong.df;
CLASS HTN;
VAR SBP;
RUN;

*Levene의 등분산성 검정하기;
PROC GLM DATA=hong.df;
   CLASS HTN;
   MODEL SBP = HTN;
   MEANS HTN / HOVTEST=LEVENE(TYPE=ABS);
RUN;
QUIT;

 

SAS 독립 표본 T검정 (Dependent samples T-test, Two samples T-test) 정복 완료!

작성일: 2022.09.30.

최종 수정일: 2022.11.30.

이용 프로그램: SAS v9.4

운영체제: Windows 10

반응형
반응형

[SAS] 일표본 T검정 (One-sample T-test) - PROC TTEST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사람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면 참 좋겠지만, 시간적인 이유로, 그리고 경제적인 이유로 일부를 뽑아서 연구를 진행할 수밖에 없다. 모든 사람을 모집단이라고 하고, 뽑힌 일부를 표본이라고 한다. 우리는 표본으로 시행한 연구로 모집단에 대한 결론을 도출해내고자 할 것이다. 

 1000명에게 피검사를 시행하였고, 간 기능 검사의 일환으로 ALT 수치를 모았다.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1000명이 기원한 모집단 인구에서의 ALT평균이 어떻게 될지 예측하는 것이 T-test이다. T-test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일표본 T검정 (One sample T-test)

 : 모집단의 평균이 특정 값이라고 할 수 있는가?

 예) 모집단의 ALT 평균이 50이라고 할 수 있는가?

 

 2)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2022.10.04 - [모평균 검정/SAS] - [SAS] 독립 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s T-test) - PROC TTEST

 : 두 모집단의 평균이 다르다고 할 수 있는가?

 예) 고혈압 환자와 일반인의 수축기 혈압 평균이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는가?

 

 3) 대응표본 T검정 (Paired samples T-test):2022.10.07 - [반복 측정 자료 분석/SAS] - [SAS] 대응 표본 T검정 (Paired samples T-test) - PROC TTEST

 : 모집단의 짝지어진 변수들의 평균이 다르다고 할 수 있는가?

예) 간기능 개선제 복용 전 ALT 평균은 간기는 개선제 복용 후 ALT 평균과 다르다고 할 수 있는가?

 

이번 포스팅에서는 일표본 T검정 (One sample T-test)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실습용 데이터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2022.08.04 - [공지사항 및 소개] -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08.29)

 

분석용 데이터 (update 22.08.29)

2022년 08월 29일 버전입니다. 변수는 계속하여 추가될 예정입니다. 다음 카테고리에 있는 글에서 이용된 데이터입니다. - 기술 통계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 1) 엑셀 파일 2) CSV 파일 3) 코드북

medistat.tistory.com

 

시작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파일을 불러온다.

라이브러리 만드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라이브러리 만들기 - LIBNAME

파일 불러오는 방법: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방법/SAS] - [SAS]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 PROC IMPORT, PROC EXPORT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목표: 모집단의 ALT 평균이 50이라고 할 수 있는가?

 이번 포스팅의 목적은 1000명의 데이터를 가지고, 이 1000명이 기원한 모집단의 ALT평균이 50이라고 할 수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다.

 

전제조건 (정규성) - 코드

일표본 (One sample) T 검정의 전제조건은 해당 분포가 정규성을 따른다는 것이다. 정규성 검정을 하도록 하겠다. 정규성 검정에 관한 분석 내용은 다음 글에서 살펴볼 수 있다. 2022.08.12 - [기술 통계/SAS] - [SAS] 정규성 검정 - PROC UNIVARIATE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VAR ALT;
HISTOGRAM ALT/ NORMAL (MU=EST SIGMA=EST);
RUN;

 

정규성 검정 - 결과

 

 

 

 N수가 2,000개 미만이므로 Shapiro-Wilk 통계량의 p-value를 보면 0.05 이상이며, Q-Q Plot은 대부분의 데이터가 선상에 있고, 히스토그램에서도 정규성을 따르는 것처럼 볼 수 있다. 따라서 ALT로는 일표본 T검정 (One-sample T-test)를 시행할 수 있다. 

 

 

일표본 T검정 (One sample T test)의 귀무가설과 대립 가설

 

이번 일표본 T검정 (One sample T test)의 귀무가설은 하나다.

귀무가설: $H_0=$ 모집단의 ALT 평균은 50이다.

 

하지만 대립 가설은 3개가 된다.

1) $H_1=$ 모집단의 평균은 50보다 크다. (단측 검정)

2) $H_1=$ 모집단의 평균은 50보다 작다. (단측 검정)

3) $H_1=$ 모집단의 평균은 50보다 크거나 작다. (양측 검정)

 

대립 가설 별로 코드를 보고자 한다.

 

1) $H_1=$ 모집단의 평균은 50보다 크다. (단측 검정)

PROC TTEST DATA=hong.df SIDES=U H0=50;
VAR ALT;
RUN;

PROC TTEST DATA=hong.df SIDES=U H0=50; : T-TEST를 실행할 것이다. 데이터는 hong 라이브러리에 있는 df를 사용할 것이고, 대립 가설은 큰 쪽이며, 검정하고자 하는 모집단의 평균은 50이다.
VAR ALT; : 검정하고자 하는 변수는 ALT다.

 

결과

 

 

P-value는 1.0000이다. 즉, 대립 가설을 선택하는 것이 말이 안 된다는 것이다. 평균이 50보다 크다고 보는 것보다는 50이라고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뜻이다. 실제로 평균은 35.1159라고 적혀있으므로 합당한 통계분석임을 알 수 있다.

 

 

2) $H_1=$ 모집단의 평균은 50보다 작다. (단측 검정)

PROC TTEST DATA=hong.df SIDES=L H0=50;
VAR ALT;
RUN;

PROC TTEST DATA=hong.df SIDES=L H0=50; : T-TEST를 실행할 것이다. 데이터는 hong 라이브러리에 있는 df를 사용할 것이고, 대립 가설은 작은 쪽이며, 검정하고자 하는 모집단의 평균은 50이다.
VAR ALT; : 검정하고자 하는 변수는 ALT다.

 

결과

 

P-value는 <0.0001이다. 즉, 대립 가설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말이다. 평균이 50이라고 보는 것보다는 50보다 작다고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뜻이다. 실제로 평균은 35.1159라고 적혀있으므로 합당한 통계분석임을 알 수 있다.

 

3) $H_1=$ 모집단의 평균은 50보다 작거나 크다. (양측 검정)

가장 많이 사용하는 양측 검정이다.

PROC TTEST DATA=hong.df SIDES=2 H0=50;
VAR ALT;
RUN;

PROC TTEST DATA=hong.df H0=50;
VAR ALT;
RUN;

위 두 개의 코드는 같은 결과를 내준다. 왜냐하면 양측 검정 (SIDES=2)가 기본 값이어서 SIDES옵션을 지정해주지 않으면 SIDES=2라고 인식하고 코드가 돌아가기 때문이다.

 

PROC TTEST DATA=hong.df SIDES=2 H0=50; : T-TEST를 실행할 것이다. 데이터는 hong 라이브러리에 있는 df를 사용할 것이고, 대립 가설은 양쪽이며, 검정하고자 하는 모집단의 평균은 50이다.
VAR ALT; : 검정하고자 하는 변수는 ALT다.

 

PROC TTEST DATA=hong.df H0=50; : T-TEST를 실행할 것이다. 데이터는 hong 라이브러리에 있는 df를 사용할 것이고, 대립 가설은 양쪽이며, 검정하고자 하는 모집단의 평균은 50이다.
VAR ALT; : 검정하고자 하는 변수는 ALT다.

 

결과

P-value는 <0.0001이다. 즉, 대립 가설을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말이다. 평균이 50이라고 보는 것보다는 50보다 작거나 크다고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는 뜻이다. 실제로 평균은 35.1159라고 적혀있으므로 합당한 통계분석임을 알 수 있다.

 

 

주로 양측 검정이 이용되나, 사실 일표본 T검정은 거의 시행되지 않고 다음 글로 나올 독립 표본 T검정이 더 많이 사용된다. 

 

코드 정리

*라이브러리 지정하기;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파일 불러오기;
PROC IMPORT
DATAFILE="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xlsx"
DBMS=EXCEL
OUT=hong.df
REPLACE;
RUN;

*정규성 검정;
PROC UNIVARIATE DATA=hong.df NORMAL PLOT;
VAR ALT;
HISTOGRAM ALT/ NORMAL (MU=EST SIGMA=EST);
RUN;

*일표본 T검정 - 모집단의 평균은 50보다 크다. (단측검정)
PROC TTEST DATA=hong.df SIDES=U H0=50;
VAR ALT;
RUN;

*일표본 T검정 - 모집단의 평균은 50보다 작다. (단측검정)
PROC TTEST DATA=hong.df SIDES=L H0=50;
VAR ALT;
RUN;

*일표본 T검정 - 모집단의 평균은 50보다 작거나 크다. (양측검정)
PROC TTEST DATA=hong.df SIDES=2 H0=50;
VAR ALT;
RUN;

*일표본 T검정 - 모집단의 평균은 50보다 작거나 크다. (양측검정)
PROC TTEST DATA=hong.df H0=50;
VAR ALT;
RUN;

 

 

SAS 일표본 T검정 (One-sample T-test) 정복 완료!

작성일: 2022.09.30.

최종 수정일: 2022.11.03.

이용 프로그램: SAS v9.4

운영체제: Windows 1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