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AS] 라이브러리 만들기 - LIBNAME

SAS를 접하자마자 마주치는 단어가 '라이브러리 (Library)'인데 생소하고 어색한 개념이라 쉽게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 사실이다. 필자도 이를 받아들이기까지 짧지 않은 시간이 걸렸으니 말이다.

 

SAS 라이브러리 개념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해보다 코드가 필요한 독자들은 아래 코드 박스로 이동하면 된다.

-----------------------------SAS 라이브러리 개념 설명-----------------------------

SAS에서 사용되는 파일은 라이브러리에 저장되는데, SAS 라이브러리는 두 가지로 나뉜다.

1) WORK 라이브러리

 - 기본 라이브러리

 - 임시 폴더

2) 개인이 지정한 라이브러리

 - 개별화된 라이브러리

 - 영구 폴더

 

라이브러리라는 개념은 다음 비유를 통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이 페이지에 들어온 독자들의 기기는 사진을 다운받아 여러분에게 보여준다. 하지만 이내 필요한 파일이 아니므로 곧 삭제한다. 이때 파일이 저장되어있는 곳이 "WORK 라이브러리"다. 파일이 곧 사라지듯, SAS를 종료하면 "WORK 라이브러리"에 저장되어 있는 SAS 파일은 사라진다.

 여러분의 기기에 사진을 영구적으로 저장하고자 한다면 특정 폴더에 저장을 해야 한다. 그 특정 폴더가 "개인이 지정한 라이브러리"이며 이곳에 저장된 파일은 영구적으로 저장되어 있다.

---------------------------------------------------------------------------------

 

 

라이브러리 지정 코드는 다음과 같다.

LIBNAME hong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LIBNAME : 지정 코드. 변경하지 않는다.

hong: 원하는 라이브러리의 이름. 독자가 원하는 이름 (test, exam, patient ... 등) 원하는 이름으로 지정한다.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 라이브러리로 지정할 폴더의 위치를 지정한다. 앞으로의 SAS파일은 이 폴더에 저장될 것이다.

 

아래 글에서 찾아볼 수 있듯이, SAS는 대소문자를 가리지 않으므로  "LIBNAME", "hong"은 대문자로 쓰든, 소문자로 쓰든, 섞어 쓰든 아무 상관이 없으며 모두 같은 것으로 인식한다.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팁] - [SAS] 주석 처리 및 프로그램 특징

 

[SAS] 주석 처리 및 프로그램 특징

[SAS] 주석 처리 및 프로그램 특징 SAS를 구동하다 보면 특정 구역을 실행되지 않았으면 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코드를 설명해놓은 구역은 실행되지 않아야 한다. 이럴 때는 주석 처리를 하면 된

medistat.tistory.com

 

 

SAS 파일을 특정 라이브러리에 저장하는 방법 및 SAS에서 라이브러리 지정이 필요한 이유는 다음 글에서 찾아볼 수 있다.

2022.08.05 - [통계 프로그램 사용 팁] - [SAS]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SAS]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SAS] 데이터 불러오기 및 저장하기 (내보내기) 불러오기 1. '불러오기 마법사 (Import Wizard)'를 이용하는 방법 2. 코드 (PROC IMPORT)를 사용하는 방법 (추천) 저장하기 (내보내기) 1. '내보내기 마법사 (Exp

medistat.tistory.com

 

 

 

SAS 라이브러리 정복 완료!

 

작성일: 2022.08.05.

최종 수정일: 2022.08.05.

이용 프로그램: SAS v9.4

운영체제: Windows 1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