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 작업 디렉토리 (Working Directory) 지정 - getwd(), setwd()

 R에는 작업 디렉토리 (Working directory)라는 개념이 있다. SPSS에는 없는 개념이고, SAS의 라이브러리와는 약간 다른 개념인데, R의 작업 디렉토리는 일의 편리함을 극대화해주는 도구다.

 

방법

 거두절미하고 작업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다.

setwd("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원하는 폴더의 위치를 setwd("")안에 넣어주기만 하면 된다. 

 - 이때 탐색기와 같은 프로그램에서 위치를 복사에 R 혹은 R studio에 붙여 넣으면 /이 아니라 \로 입력되는데, 이는 일일이 "/"로 바꿔주어야 한다. 혹은 R studio내에서 Ctrl + F로 한 번에 바꿔주거나, 메모장의 Ctrl + H기능으로 한 번에 바꿔주면 된다.

 - Mac OS이용자는 바꿔줄 필요 없이 바로 붙여 넣으면 된다.

 

작업 디렉토리가 잘 지정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있는데 코드는 다음과 같다.

getwd()

getwd()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반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1]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

 

이점

워킹 디렉토리의 이점은 효율성이다. 예를 들어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안에 있는 "Data_220804.xlsx"를 지정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지정해야 한다.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Data_220804.xlsx"

하지만 이미 "C:\Users\user\Documents\Tistory_blog"을 워킹 디렉토리로 지정해 두었으므로 앞으로는 다음과 같이 언급해도 이는 위와 같은 파일을 가리키는 것과 같다.

"Data_220804.xlsx"

 

 

R 작업 디렉토리 (Working directory) 지정 정복 완료!

 

작성일: 2022.08.05.

최종 수정일: 2022.08.05.

이용 프로그램: R 4.1.3, RStudio v1.4.1717

운영체제: Windows 10

반응형

+ Recent posts